[편집자의 글]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공원(옛 효창원)에 위치한 〔백범김구기념관〕. 전시실 1층에는 백범(白凡) 김구(金九, 1876~1949) 선생의 흰색 대형 좌상(坐像)이 있고, 좌상을 에둘러 시대상과 활동, 가계와 일대기를 전시해 놓았다. 2층에는 김구 선생의 자서전 격인 《백범일지 白凡逸志》와 임시정부 내 주요 보직과 역할 등을 시기별로 전시하고 있다.
기념관 탐방을 마치고 《백범일지》가 새삼 궁금해졌다. 이내 인터넷서점을 통해 새로 구입해서 읽어 보았다. 새롭게 편집된 최신판 《백범일지》를 읽으면서 김구 선생에 대한 생각이 깊어졌다. 통상 표면적으로 얘기하는 〔민족지도자 民族指導者〕라는 수식어에 의구심이 생겼다. 혹여 김구 선생의 사상을 〔민족 民族〕에만 국한해 놓고는, 지나간 과거 역사의 한 인물로만 축소해 놓고는, 그의 진면목(眞面目)을 놓치고 있지는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나의 소원〉을 다시 새롭게 읽어 보니, 김구 선생께서 스스로 자신의 정치이념을 밝혀 놓으신 부분을 보고 크게 놀랐다. 흔히 〔자유 自由〕의 신봉자로 초대 국회의장을 거쳐 초대 대통령을 역임한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 1875~1965) 박사를 꼽곤 하는데, 김구 선생께서는 명징한 언어로 누누이 곳곳에서 〔자유 自由〕가 자신의 근본 정치이념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김구 선생은 〈나의 소원〉에서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 특히 문화강국이 되기를 소원한다는 유명한 말씀을 하셨는데, 그 저변에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전제(大前提)로서 대자유(大自由)가 있었다는 점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김구 선생은 〈나의 소원〉에서 동서양 막론하고 세계의 이념적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서 재삼재사 〔자유 自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계셨다. 선생은 “우리나라가 독재국가가 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이미 “어떠한 형태라도 독재정치는 배격한다”고 말씀하셨고, 동포들에게 “독재국가가 되지 않도록 조심하라”고 경종(警鐘)을 울리고 또 대오각성(大悟覺醒)를 촉구하고 계셨다.
아래는 지난 6월 26일(목) 백범 김구 선생의 제76주기 추모식을 맞아 새삼 〔백범김구기념관〕을 탐방하면서 느꼈던 생각들을 차분하게 곱씹고, 선생의 유명한 글 〈나의 소원〉 중에서 일부분을 필사하며 정리한 것이다. 마치 선생께서 직접 육성(肉聲)으로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있는 장면을 떠올린다면 더욱 생생하게 느껴질 수 있을 듯하다.
주된 내용은 ▲ 조국에 돌아오며 느꼈던 귀환의 감격 ▲ 효창공원에 조성된 안중근(安重根, 1879~1910) 의사의 가묘(假墓)와 일본에서 참혹하게 순국한 백정기(白貞基, 1896~1934), 윤봉길(尹奉吉, 1908~1932), 이봉창(李奉昌, 1900~1932) 등 세 분 의사(삼의사 三義士)의 봉환, 그리고 ▲ 백범 김구 선생께서 직접 밝히신 정치이념 〔자유 自由〕에 관한 것이다. 몇 차례 나눠 싣는다.
■ [백범일지]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자연과학의 힘은 아무리 많아도 좋으나, 인류 전체로 보면 현재의 자연과학만 가지고도 편안히 살아가기에 넉넉하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 자비(慈悲)가 부족하고, 사랑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마음만 발달이 되면 현재의 물질력으로 20억이 다 편안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인류의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이러한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되고,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진정한 세계의 평화가 우리나라에서, 우리나라로 말미암아서 세계에 실현되기를 원한다.
......(중략 中略: 중간 생략)
■ [백범일지] 젊은 남녀들이여! 교육에 마음 쓰라
동포 여러분! 이러한 나라가 될진대 얼마나 좋겠는가. 우리네 자손을 이러한 나라에 남기고 가면 얼마나 만족하겠는가.
옛날 한토(漢土)의 기자(箕子)가 우리나라를 사모하여 왔고, 공자(孔子)께서도 우리 민족이 사는 데 오고 싶다고 하셨으며, 우리 민족을 인(仁)을 좋아하는 민족이라 하셨으니 옛날에도 그러하였거니와, 앞으로는 세계 인류가 모두 우리 민족의 문화를 이렇게 사모하도록 하지 아니하려는가.
나는 우리의 힘으로, 특히 교육의 힘으로 반드시 이 일이 이루어질 것을 믿는다. 우리나라의 젊은 남녀가 다 이 마음을 가질진대 아니 이루어지고 어찌하랴!
나도 일찍이 황해도에서 교육에 종사하였거니와 내가 교육에서 바라던 것이 이것이었다. 내 나이 이제 70이 넘었으니, 직접 국민교육에 종사할 시일이 넉넉지 못하거니와, 나는 천하의 교육자와 남녀 학도들이 한번 크게 마음을 고쳐먹기를 빌지 아니할 수 없다.
1947년
샛문 밖에서
※자료: 김구(1947), 도진순 주해(2024, 1997), 《백범일지: 백범 김구 자서전》, 돌베개
백범일지 : 알라딘
는 1947년 최초로 출간된 이후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져 왔고 현재도 꾸준히 읽히고 있는 전국민의 필독서. 27년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어온 민족독립운동가이자, 자신의 전 생애
www.aladin.co.kr
※ 참고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 기념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보훈부] 용산 전쟁기념관, 7월 한 달간 6.25전쟁 고지전의 영웅들 특별전시회 개최 (1) | 2025.06.29 |
---|---|
[국가보훈부] 임정기념관 유럽특별전 첫 개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평화를 위한 꿈의 여정 전시 (2) | 2025.06.29 |
[백범일지⑤] 김구 선생, “자유의 나라에서만이 높은 문화 발생, 동포여! 독재정치 조심하라” (2) | 2025.06.29 |
[백범일지④] 김구 선생, “유교 양반정치는 독재, 사상독재는 문화소멸을 가져온다” (0) | 2025.06.29 |
[백범일지③] 김구 선생, 용산 효창원 삼의사 장례: “일제 학살,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유골 귀환 감개무량” (4) | 2025.06.28 |